티스토리 뷰

1. Google Cloud Platform의 주요 서비스

  • Compute
  • Storage
  • Big data
  • Machine Learning

 

2. Cloud Computing 이란?

아래 5가지의 특성을 갖는 IT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2.1 On-deman self-service

Computing resources를 언제든지 스스로 얻을 수 있습니다. 사람의 개입 없이 단순한 인터페이스만으로 power, storage, 그리고 network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2.2 Broad netwrok access

어디서든지 인터넷에 접속하여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3 Resource pooling

리소스 제공자는 리소스를 저장할 수 있는 큰 pool이 있고, 이를 고객에게 할당합니다. 규모 단위로 구매하고, 절감된 비용을 고객에게 돌려주면서 제공자는 대량생산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loud를 사용하는 고객은 해당 리소스가 물리적으로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알지 못해도 됩니다.

 

2.4 Rapid elasticity

리소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빠르게 할당됩니다. 기존보다 많이 원하면 추가의 리소스를, 적게 원하면 축소하며 탄력적으로 제공되는 것입니다.

 

2.5 Measured service

 고객이 사용한 만큼만 지불합니다. 사용을 멈추면 지불도 멈추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왜 Cloud를 사용할까?

Cloud computing의 시작은 IT 산업에서 수십 년간 사용한 'colocation (같은 장소에 배치하는 것)'과 달리 하드웨어와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었습니다. 과거에는 비싸고 많은 자본이 투입되는 data center를 구축하였으나 Cloud로 인해, 공유 자재의 빈 공간을 빌리며 자본을 유연하게 풀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상화된 data center의 요소는 물리적 data center와 같으며, 리소스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하드웨어 용량이나 언제 설정 혹은 실행하는지는 예측하는 것은 아직 연구 중에 있습니다. 

 

구글은 가상화 모델의 한계로 비즈니스가 빠르게 진행되지 못할 것이라 생각했기에, container 기반의 아키텍처로 변경하였습니다. 그래서 Google cloud는, Google의 application을 실행하기 위한 인프라를 자동적으로 공급하고 설치합니다. 

 

4. GCP computing architectures

이전의 많은 위험 예측에 비해 IaaS와 PaaS는 이점이 있습니다. Cloud computing이 발전하면서 infrastructure와 service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변하였습니다.

 

4.1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는 data center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같이 raw compute, storage, 그리고 network를 제공하며, 할당된 리소스만 지불하면 됩니다.

 

4.2 PaaS (Platform as a Service)

PaaS는 사용자가 library에 작성한 숨겨진 application code로 필요한 infrastructure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application logic에만 집중하며, 사용한 리소스만 지불하면 됩니다.

 

4.3 SaaS (Software as a Service)

Google은 search, gmail, docs 그리고 drive와 같은 소프트웨어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5. Google network

Google은 현재 전 세계 internet traffic의 40%를 운반합니다. Google network는 사용자의 application에 가능한 높은 처리량과 낮은 대기시간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인터넷 사용자가 Google 리소스에 트래픽을 보내면, Google은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낮은 대기시간을 줄 수 있는 가장자리 네트워크에서 응답합니다. Google의 edge-caching 네트워크end user에게서 가까운 위치에서 제공하여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6. GCP regions과 zones

6.1 Zone이란?

Zone은 GCP 리소스가 배치되어 있는 지역입니다. 예를 들어, GCP에서 compute engine을 이용해 가상 머신을 시작하면 사용자가 명시한 zone에서 실행하게 됩니다. Zone은 항상 하나의 물리적 건물에 대응되지 않기 때문에 CGP data center와는 다릅니다.

 

6.2 Region 이란?

Region은 여러 개의 zone을 모은 지리적 지역으로, 사용자가 GCP 리소스가 존재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region안에 있는 모든 zone은 네트워크 연결성이 빠릅니다. Region안의 지역은 보통 네트워크 왕복 대기시간이 5ms가 걸리고, 현재 GCP는 15개의 region이 있습니다.

 

6.3 Multi-Region이란?

Region에 있는 하나의 zone이 예상치 못한 실패 영역이 될 수 있기에, 사용자는 리소스를 한 region의 여러 zone에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서로 다른 region에 리소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고객의 application을 end user에게 가깝게 전달할 수 있고, 자연재해와 같이 region 전체에 손실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많은 고객이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